간편글쓰기
지도로보기
댓글리스트
스크랩목록
설문조사
회원검색
관리자문의
출석하기
모바일모드
로고설정
1
포진지동굴
2
부네치아
3
마이산탑사
4
스카이워크
5
해양레포츠센터
6
장림포구
7
애기소
8
공산성
9
아미산 전망대
10
제부도
실시간 인기 검색어
1
포진지동굴
2
부네치아
3
마이산탑사
4
스카이워크
5
해양레포츠센터
4
6
장림포구
7
애기소
8
공산성
9
아미산 전망대
10
제부도
추천 검색어
망산도
왜성
한옥마을
반곡지
도담삼봉
운수사
말티재
위양지
전체메뉴
0
서부산팟
지역업체
서부산관광
문화유산
전국여행지
고객센터
횡설수설
서부산발전
채용정보
인재정보
알바정보
지역행사일정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부산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부산북구
서부산지역
전국지역권
유튜브컬쳐
여행지추천
지역별사찰
여행지식당
핫플레이스
공지사항
이용가이드
질문과답변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메뉴 설정관리
전체메뉴
서부산팟
횡설수설
서부산발전
채용정보
인재정보
알바정보
지역행사일정
지역업체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부산북구
서부산관광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부산북구
문화유산
서부산지역
전국지역권
유튜브컬쳐
전국여행지
여행지추천
지역별사찰
여행지식당
핫플레이스
고객센터
공지사항
이용가이드
질문과답변
서부산정보
문화유산
서부산지역
지역문화유적
개인여행의 기록물
전체보기
지정유적지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문화재자료
행사
미지정유적
기타
검색하기
제목
내용
글쓴이
-지역선택-
서울
경기도
인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도
세종시
54
0
4
0.0
장항 신석기유적지
가덕도 장항 신석기유적지 부산 강서구 성북동 장항마을 신석기 집단 매장유적지에 홍보공원 조성되어 있다. 홍보공원은 녹지공간 3600여㎡에 신석기인들의 거주 흔적인 집석유구(集石遺構·돌로 된 구조물 터) 2개를 발굴 당시 그대로 복원해 놓았다. 또 집석유구를 중심으로 둘레 30m 정도의 타원형 홍보 안...
부산 강서구 성북동
2023-03-09
46
0
4
0.0
강선대
강선대(降仙臺) 덕포동에는 옛날 이 지역 주민들의 안녕과 평안을 빌던 사당이 2개 있는데, 사상초등학교 뒤에 있는 것을 하강선대(下降仙臺, 할매당산), 서쪽의 도시철도 덕포역 도로변에 있는 것을 상강선대(上降仙臺, 할배당산)라고 한다. 이들 두 강선대에는 매년 음력 12월 1일이면 신선(神仙)이 하강하여 목...
부산 사상구 덕포동
2023-03-06
47
0
3
0.0
냉정샘터
냉정샘터(冷井샘터) 냉정은 냉정우물, 냉정샘터등으로 불리는데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2동 185번지에 위치한 사상구 명소 중 하나이다. 냉정에 관한 역사와 유래를 자세히 알려주는 문헌기록이 많지 않은 관계로 지금까지 대개 구전으로 전해 오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냉정(冷井)은 가야에서 주례동...
부산 사상구 주례동
2023-03-06
46
0
4
0.0
사립명진학교 석주
사립명진학교 석주(私立明進學校) 우리나라 근대적 교육의 시작은 외세에 의해 문호가 개방되고 신식학문(新式學文)이 들어오면서부터이다. 뜻이 있는 인사(人士)들은 우리의 비참한 국운(國運)을 일찍이 바로 세우지 못한 것은 신학문(新學問)의 수용이 늦어 자연히 세계의 진운(進運)에 어두웠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
부산 사상구 덕포동
2023-03-06
46
0
4
0.0
사상구인의사연구제단
사상구인의사연구제단(沙上九人義士戀舊祭壇) 임진왜란때 부산진과 다대진을 함락한 왜군들이 동래성까지 점령한 후 낙동강을 따라 쳐들어 왔을 때 사상출신의 젊은이들은 관군이나 의병으로 출전하였고, 7년간의 전쟁이 끝나 싸움터에서 생환해 온 아홉 분이 9인계(九人契)를 조직, 향리를 복원하면서 전쟁에서 몸을 ...
부산 사상구 괘법동
2023-03-06
40
0
4
0.0
통정대부 김준옥 묘명
통정대부김준옥 묘명(通政大夫 金峻玉 墓銘) 모라동 서당골 골짜기의 산 언덕에는 유두(柳頭) 출신인 통정대부 김준옥(通政大夫 金峻玉)의 공을 후대의 양산군수 류인목(柳寅睦)이 찬양한 묘명(墓銘) 비석이 서 있다. 양산군지 산천조(山川條)에 보면<유도(柳島)는 강 가운데 있으며 섬사람들이 해마다 물의 피...
부산 사상구 모라동
2023-03-06
42
0
3
0.0
운수사 부도탑
운수사부도탑(雲水寺 浮屠塔) 사상구 모라동 운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종형 부도탑으로 백양산(白楊山) 운수사에서 200m 남짓 아래 길옆 솔밭에 세워져 있다. 조선 후기의 양식을 그대로 따른 운수사 부도탑(雲水寺浮屠塔)(2)는 높이가 1.4m이며 기단 높이는 50㎝로 나란히 선 운수사 부도탑(雲水寺浮屠塔)(1)...
부산 사상구 모라동
2023-03-06
34
0
2
0.0
선광사 석가 여래 성도기
선광사 석가 여래 성도기(仙光寺 釋迦如來成道記) 석가여래성도기는 당나라 초의 시인 왕발(王勃)이 지은 석가여래성도기에 대해 당나라 때 중국 항주(杭州) 남쪽 교외의 전당강(錢塘江) 가에 있는 월륜산(月輪山)의 도성(道誠)이 주석을 한 책으로, 내용은 석가모니의 일생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소유자가 2010년 3월...
부산 사상구 덕포동
2023-03-06
27
0
1
0.0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는 고려 희종 5년(1209) 승려 지눌(知訥)이 저술한 책으로 1권 1책이다. 지눌의 말년 저작으로 선과 교에 대한 그의 종합적인 견해가 드러나 있어 그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통괄할 수 있는 저술이다. 전체 내...
부산 사상구 주례동
2023-03-06
63
0
1
0.0
승학사 석조여래좌상 (乘鶴寺 石造如來坐像)
승학사 석조여래좌상 (乘鶴寺 石造如來坐像) 승학사 석조여래좌상은 허리를 세우고 머리를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이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것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이며, 상반신에 비해 하반신이 약간 넓은 신체 비례는 18세기 불상의 특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항마촉지인을 결한 오른손은 불신과 ...
부산 사상구 학장동
2023-03-05
23
0
1
0.0
부산영산재
부산영산재 (釜山靈山齋) 영산재란 부처가 영취산에서 행한 설법회를 재현하는 의식으로 불교에서 영혼천도를 위한 의식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의식이다. 의식의 절차는 우선 부처가 그려진 그림(괘불)을 야외에 내어 거는 괘불이운과 천도받을 대상을 절 밖에서 모셔오는 시련(侍輦)을 행한다. 의식이 행해지는 ...
부산 사상구
2023-03-05
33
0
1
0.0
운수사아미타삼존도
운수사아미타삼존도 (雲水寺 阿彌陀三尊圖) 본 작품은 족자형이며, 안료의 변색과 박락으로 인해 보존상태는 전체적으로 양호하지 못하다. 배면 중앙에는 세로 3행의 다라니가 주서로 적혀 있고, 네면 모서리에 주서(朱書) 범자가 한자(一字)씩 적혀 있다. 화면 중앙에 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한 ...
부산 사상구 모라동
2023-03-05
40
0
2
0.0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雲水寺 大雄殿 石造如來三尊坐像)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의 재질은 조선후기 영남 지역에서 다수 사용되었던 불석(제오라이트)으로, 조선시대에 성행한 목조, 소조 불상과는 다른 이 지역 불상 재료의 특징으로 판단된다. 절대연대는 알 수 없지만 이 삼존불상의 양식을 ...
부산 사상구 모라동
2023-03-05
41
0
1
0.0
운수사 대웅전
운수사대웅전 (雲水寺 大雄殿) 운수사 대웅전은 2013년 대웅전 전면 해체 수리 때 발견된 2개의 종도리 묵서명에 의해 1647년에 공사를 시작해서 1655년에 완공된 것으로 확인된다. 정면3칸, 측면3칸 규모의 단아한 주심포계 맞배집으로 자연석 초석 위의 기둥은 모두 민흘림한 원주로 외진에 평주 8개와 고주 4개,...
부산 사상구 모라동
2023-03-05
25
0
1
0.0
용적사 신중도
용적사 신중도(龍積寺 神衆圖) 용적사 신중도는 정방형 비단 바탕 화면에 채색을 베푼 불화로, 화면 상단의 5폭 병풍을 배경으로 제석천(帝釋天)과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그린 제석천룡도(帝釋天龍圖)이다. 경상도 대승사와 김룡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사불산화파의 화승인 하은 위상(霞隱偉相)이 수화승으로 ...
부산 강서구 생곡동
2023-03-05
25
0
1
0.0
용적사 산신도
용적사 산신도(龍積寺 山神圖) 용적사 산신도 화면 하단에는 '隆熙三'이라는 묵서 일부가 잔존하며, 불화 배면 중앙에는 3행의 주색(朱色) 범자다라니를 적고, 그 사방 가장자리에 범자(梵字) 1자씩을 각각 적고 있다. 화면 아래에 잔존하는 일부 화기에 의해 융희(隆熙) 3년(1909)에 조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용...
부산 강서구 생곡동
2023-03-05
23
0
1
0.0
용적사 독성도
용적사 독성도 (龍積寺 獨聖圖) 이 작품은 화면에서 절흔과 함께 촛농 자국 및 습기로 인한 얼룩 흔적 등이 확인되나, 그림의 현상 파악에는 무리가 없다. 하단에 있는 화기를 통해 이 작품이 1909년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용적사 독성도는 독성이 향좌측을 향해 3/4분면 자세로 반가좌를 취한 모습으로 그...
부산 강서구 생곡동
2023-03-05
23
0
1
0.0
청량사 석가모니후불탱
청량사석가모니후불탱 (淸凉寺釋迦牟尼後佛幀) / 영산회상도 화면 중앙에 범자가 있는 방형좌 위의 연화좌에 결가부좌한 채 설법인을 결한 석가모니불과 화면 좌우에 연꽃가지를 든 문수보살·보현보살을 위시한 7보살 및 분신불(分身佛)이 각각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본 작품은 화기를 통해 1918년 화승 완호...
부산 강서구 명지동
2023-03-05
37
0
1
0.0
망산도·유주암
망산도·유주암 (望山島·維舟巖) [삼국유사(三國遺事)]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수로왕이 왕이 된 지 7년이 지나도록 왕비가 없어 신하들이 왕비를 맞이할 것을 청하였는데, 수로왕은 왕비는 하늘이 정해줄 것이라고 말하고 유천간(留天干)을 현 진해시 용원동 앞 바다에 있는 작은 섬으로 보내 기다리게 했는데,...
부산 강서구 송정동
2023-03-05
38
0
1
0.0
죽림동 죽도왜성
죽림동(김해) 죽도왜성 (金海 竹島倭城) 죽림동 죽도왜성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가락산에 있는 것으로, 가락성 또는 죽도성이라고도 한다. 가락산은 동서로 길게 뻗은 독립된 야산으로, 그 동쪽 끝이 낙동강 서쪽 지류에 인접해 있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
부산 강서구 죽림동
2023-03-05
RSS
목록보기
이전
1
2
3
다음
(
)
님의 회원정보
닫기
문화유산
서부산지역
전국지역권
유튜브컬쳐
클라우드 인기검색어
포진지동굴
부네치아
마이산탑사
스카이워크
해양레포츠센터
장림포구
애기소
공산성
아미산 전망대
제부도
위양지
운수사
도담삼봉
회원랭킹
사하인
10,403 점
1
월화수목금금금
3,600 점
2
니캉내캉
900 점
3